봄이 되니 몸 담은 여러 곳에서 행사들이 많다. 지난 토요일은 오전에 회사 체육대회가 있는터라 흙먼지를 바지 가랑이에 잔뜩 묻혔다가 점심후 대충 툴툴 털고 지인의 혼사에 봉투 하나 디밀고 냅다 서울을 향해 달렸다.
결국 거나하게 먹을 수 있는 점심을 다 놓친 채 휴게소에서 우동 한 그릇으로 때웠다.
서울에서는 한국불교문인협회의 정기총회와 년간지 20주년 기념호 발간기념식이 있었는데 웬만해서는 오너를 하지 않는데 시간이 급박하여 차를 가져갔더니 시골 사람에게 서울은 교통지옥에 다름 없다. 아산에서 서울 입구까지 간 시간보다 서울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시간이 서너 배는 더 소모되었다. 이런 지옥에서 매일 훈련을 하는 서울 사람들이니 전국 어디를 가도 시골사람들 혼을 빼 놓는 것은 당연하다.
오늘은 밥복이 없는 날이다. 서울에서 행사가 끝난 오후 5시, 저녁식사도 행사의 연장이지만 잡는 문우의 손을 뿌리치고 다시 다음 행사가 있는 조치원으로 달려야 했다. 결국 저녁도 휴게소에서 해결 할 수 밖에 없었다. 간간히 바쁠 때는 이렇게 밥복이 얇은 날도 있다.
촌놈은 그저 배 부른게 최고라는 신념을 가진 나에게 이런 날은 왕재수다. 제길~~~ ㅠ_ㅠ
조치원 행사는 이미 늦었지만 눈도장이라도 찍어야 되어 무리를 한 덕에 서천에서 온 지인이 밥복에 술복도 빈한한 하루를 걸머진 나에게 '한산 소곡주 韓山素穀酒' 한 병을 건넨다. 행사장 주변에는 복사꽃이 만발하여 가로등 불빛에 더욱 요염해 보여 농익은 삼십대 여인의 젓가슴 같아 오가는 술잔속에 시의 조각들이 조롱조롱 매달릴 것 같았지만 酒醉運轉의 압박이 여간 무겁지 않아 포기하고 말았다. 저간의 사정을 잘 아는 그는 '집에 가서 어부인과 마주 앉아 개다리 소반에 올리시게'라며 슬쩍 찔러 주는 것이다. 슬며시 찔러주는 이런 류를 나는 무척 좋아하는데 이번 선거 기간 동안 내 옆구리에 찔러 주는 인간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사회에서 나는 정치적으로 실패한 인간인가 싶기도 하다. 받았다는 놈도 많더만~~ ㅠ_ㅠ
늦은 시간 집에 오니 아내는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친구를 면회 갔다가 가리는 것 없이 잘 먹어야 한다는 처방이 내려졌다며 환자를 끌고 곱창집을 전전하고 있다 하고 큰 아이는 동아리 일로 늦는 단다. 고3인 둘째는 방문까지 걸어 잠그고 두문불출이고 남은 막내는 텔레비젼 화면에 시선을 고정하고 한 올의 여유도 남겨주지 않는다.
이런 때 사용하는 말이 '셀프서비스'란 건가? 냉장고를 뒤적 거려 볶아 놓은 멸치 한 보시기, 쥐포 한 보시기를 꺼내 혼자서 권커니 잣거니 한다. 갑자기 옛글 하나가 생각이 났다. 당송(唐宋)8대가 소동파(蘇東坡) 는 술에 대해 "마땅히 조시구(釣詩鉤) 라 부르고 또한 소수추 (掃愁推)라 칭하리" 라고 읊었다. 술이야말로 시상(詩想)을 떠올리게 하는 낚싯바늘이요 시름을 쓸어내는 것이라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