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월 3일 오늘의 역사오늘의 역사(歷史) 2006. 12. 3. 11:30
12월 3일의 지나간 오늘
국내
1868 초대 부통령 지낸 이시영 출생
1908 기독청년회관 개관
1910 개성 고려왕릉 도굴
1921 '조선어연구회' 창립(1949년엔 '한글학회'로 개칭)
1952 유엔총회, 한국전 포로문제에 관한 결의안 채택
1970 북괴 박성국 소좌, MIG기 몰고 귀순
1978 경기 가평에서 철기시대 주거지 발굴
1983 부산 다대포 해안에 무장간첩 침투, 2명 생포
1987 중부고속도로 개통. 서울-대전간 145.3km
1991 광주시 유덕동 상공서 공군소속 F5A전투기 2대가 충돌하면서 추락
1994 정부조직 개편 단행
1995 전두환 전대통령 구속
1997 IMF 구제금융 합의( 총 550억 달러의 긴급자금 지원)
1997 북한탈출 주민 7가족 13명 중 7명 중국 베트남 국경서 실종보도
2000 한국 천주교 200여년동안의 잘못을 고백하고 참회하는 문건 `쇄신과 화해` 발표
해외
1879 에디슨 전등 발명
1894 영국 작가 스티븐슨 별세
1896 제1회 올림픽 경기 대회,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
1912 발칸전쟁 휴전
1919 프랑스 화가 오귀스트 르노와르 별세
1948 중국 키양호가 지나해서 폭발로 침몰. 1,100명 사망
1971 인도와 파키스탄, 전면 전쟁 돌입
1972 스페인 전세기가 카나리아군도서 이륙도중 추락. 155명 사망
1975 라오스, 공산정권 수립-----------------------------------------------------------------------
★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는 말이 있다. 아무리 막강한 권력이라도 십년을 가지 못한다는
말인데 그만큼 권력이란 무상하다는 뜻일게다. 그 권불십년이라는 말이 딱 어울릴 일이
1995년에 있었다.
신 군부의 무력을 등에 업고 집권하여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던 전두환 전대통령이
1995년 12월 3일 군형법상 반란수괴, 불법진퇴, 지휘관 계엄지역수소이탈, 상관살해 및
미수, 초병살해 등 6개 혐의로 고향인 합천에서 검거돼 안양교도소에 수감됐다.
12.12 및 5.18특별수사본부는 전날인 12월 2일 전두환 전대통령이 검찰 소환에 불응하며
자택인 연희동 골목에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후 고향 합천으로 내려간 전 전대통령을
검거하기 위해 사전구속영장을 받았다.
검거반은 주민들과 한참동안 실랑이를 벌이다 전대통령이 묵고 있는 내실로 들어가 영장을
집행했다. 결국 전두환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집행은 3일 오전 6시34분 검-경 합동으로
작전이 개시된지 37분 만에 전격적으로 끝났다.
권력을 누릴때는 누리는 그때보다는 10년후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교훈을~★
새로운 한 세기를 여는 밀레니엄 2000년에 한국 천주교가 200여년 동안 역사에서 저지런
잘못을 민족앞에 고백하고 참회하며 용서를 구하는 공식문건 `쇄신과 화해` 를 발표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이름으로 발표된 `쇄신과 화해`라는 문건을 통해 천주교회는 조상제사
금지, 병인양요, 안중근의사 의거의 `살인` 규정등의 내용이 잘못되었음을 특정사안에 대한
구체적 잘못이 아닌 포괄적인 면에서 용서를 구했다.
이는 2000년 3월 교황 요한 바로오2세가 지나간 2000년 역사를 통해 가톨릭 교회가 저지른
잘못을 고백하고 용서를 구한 `교황청의 역사적 과오에 대한 참회`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한국 천주교회의 이 문건은 비록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메시지가 명확하지 않고 일부
마땅히 언급해야 할 내용이 빠져있다`는 종교학계 등의 비판도 있었다.★
4년마다 지구촌을 달구는 올림픽 경기가 처음으로 그리스의 아테네에서1896년에 열렸다.
이 올림픽을 처음 제안한 이는 쿠베르텡인데 그가 영국에 유학을 하면서 워털루전쟁에서
영국군이 승리한 것의 근원이 이튼 교정에서 꽃 피웠던 스포츠에 있었다는 것을 알고나서
청소년 교육으로 스포츠가 큰 역활을 할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날 열린 제1회 올림픽 경기 대회는 10개 종목에서 13개국의 311명이 참가했다.
올림픽은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에 개최되어 사회전반을 획기적으로 변하게 한 계기가
되기도 했다. 특흐 고질적인 우리릐 화장실 문화를 세게수준으로 올려놓은 계기가 되었다.특히 개막식에서 어린 소년이 굴렁쇠를 굴리면서 나타나 전세계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이벤트를 연출하기도 했다. 지금은 그 소년이 청년으로 자라서 해병대에 입대하여 복무중에
있다고 하니 세월이 참 빠르다.
'오늘의 역사(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5일 오늘의 역사 (0) 2006.12.05 12월 4일 오늘의 역사 (0) 2006.12.04 12월 2일 오늘의 역사 (0) 2006.12.02 12월 1일 오늘의 역사 (0) 2006.12.01 11월 30일 오늘의 역사 (0) 200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