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월 15일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歷史) 2007. 2. 15. 09:03

     

    2월 15일 오늘의 역사


    국내
      1277(고려 충렬왕 3) 왕륜사 장육소상 조성
      1393(조선 태조 2) 조선 국호를 정식 사용
      1894(조선 고종 31) 전라도 고부에서 동학농민전쟁 발발
      1927  독립운동 단체 신간회 창립
      1951  트루만 미국대통령, 38선 돌파 권한 맥아더에게 부여
      1952  제1차 한일회담 개최
      1953  긴급통화조치령 발표, 통화개혁
      1960  민주당 대통령 후보 조병옥, 미국에서 별세
      1974  백령도 서쪽 공해서 북한함이 우리 어선 포격 1척 침몰 14명 실종
      1981  한-나이지리아 경제 협정 체결
      1984  한국미술5천년전 유럽순회전 런던에서 열림
      1986  전북 익산에서 백제시대 금동관 등 출토
      1994  북한, 국제원자력 기구(IAEA)와 핵사찰 수용 합의
      1995  연합TV 뉴스, 첫 시험방송 방영
      1997  김정일 전처 성혜림의 조카 이한영 피살
      2000  우리나라에서 첫 뇌사자 판정


    해외
      1564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근대 과학의 아버지 갈릴레오 갈릴레이 출생
      1748  영국 철학자 벤담 태어남 
      1922  헤이그 상설 국제사법재판소 발족
      1946  세게최초로 전자계산기(컴퓨터) '애니악' 탄생
      1977  제네바 군축회담 재개, 프랑스는 남아공에 대한 무기판매 중단 선언
      1989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군 철수 완료
      1991  옛 동독 주둔 소련군 550명, 독일에 망명 요청


    -------------------------------------------------------------------------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계급투쟁이 있어왔다. 고려때의 망소이의 난을 비롯해서 수많은
    농민봉기를 통해 끊임없이 계급투쟁을 했지만 그러나 아쉽게도 성공에 이른적은 없다.


    농민봉기가 일어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탐관오리의 탐학이나 지역적인 차별이 심해져
    그 도가 지나쳤을때이며 이는 몸의 종기가 안에서부터 곪아 나중에는 바람만 스쳐도 터지는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조선의 후반기 역시도 오래된 당파정치는 관료의 임기를 보장할 수 없었고 부패한 조정은
    매관매직을 당연시하게 되었다. 기록에 보면 조선말 민왕후도 왕비전의 예산인 내탕금 마련
    을 위하여 벼슬을 팔았다고 한다.


    나라에서 벼슬을 파는 경우는 조선에 이르러 자주 일어났는데 특히 임진왜란 당시에는 군량
    을 조달하는 가장 큰 방편이 나라에서 벼슬을 파는 것이였다. 때로는 군량과 면천(종의 신분
    을 해방시켜 주는 일)을 맞바꾸기도 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그때는 나라의 존망을 앞에두고
    행해진 일이였으니 차치하고 조선말의 벼슬을 파는 행위는 개인의 사리사욕을 위한 도구였다.


    벼슬을 돈으로 사고 나면 그 다음은 본전을 뽑고 한몫을 장만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임기가
    보장되어 있지 않은데다가 그 자리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도 끝없는 상납이 필요했기에
    이들 벼슬아치들의 탐학은 실로 대단하였다. 당시 벼슬아치들에게는 "백성이란 짜면 짤수록
    진국이 흐른다"라는 말이 돌 정도였다고 하니 이들의 탐학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당시 고부군수 조병갑도 마찬가지였다. 그도 자리유지와 개인의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버린
    탐관오리로 수많은 세목을 짜내어 농민들을 핍박했다. 그는 농민들의 생명과 같은 물을
    이용하여 한몫을 잡기로 했다. 당시 농민들은 나라에서 만든 보의 물을 이용하고 수세를
    납부해왔는데 조병갑은 새로운 보를 만들고 그 수세를 자신의 몫으로 착복하였다.


    농민들은 억울했고 이 억울함을 호소할려니 글을 모르니 방법이 없었다. 정부의 모든
    공문은 한문으로 작성해야 하니 억울함을 호소하기 위해서는 글아는 이가 있어야만 했다.
    마침 농민은 아니지만 농민들의 자식들에게 글을 가르치며 살던 전봉준이 물망에 올랐고
    전봉준을 필두로 모인 이들은 마침내 무력에 의지하기로 하고 고부관아를 습격하기에
    이르게 된다.


    이때가 1894년 (조선 고종 31년)의 일로 '동학농민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동학농민전쟁과 관련 포스트 읽기

     

    동학농민전쟁의 시발점, 만석보의 현장
    http://blog.daum.net/roadtour/3593605  <-- 클릭


    동학농민전쟁의 발상지 - 무장기포지
    http://blog.daum.net/roadtour/55863   <-- 클릭


    동학농민전쟁의 첫승리,황토현 전적지
    http://blog.daum.net/roadtour/4807546   <-- 클릭

    '오늘의 역사(歷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7일 오늘의 역사  (0) 2007.02.21
    2월 16일 오늘의 역사  (0) 2007.02.16
    12월 14일 오늘의 역사  (0) 2007.02.14
    2월 13일 오늘의 역사  (0) 2007.02.13
    2월 12일 오늘의 역사  (0) 2007.02.12
Designed by Tistory.